2008. 8. 4. 13:13ㆍ문법/핵심구문 15제(영어공식-영문법)
핵심 point 1) It is + 행위 판단 형용사 + for + O + to-inf(부정사)
(im)possible
natural
necessary, important, difficult, proper, pleasant, comfortable ...
이 구문은 영문구조를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우선 이 구문에서 주어는 몇 개일까? 무려 세 개가 나온다. 가주어 [It],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인 [for + 목적어], 그리고 진주어인 [to-부정사]가 그것이다. 이처럼 영문구조는 [주어 + 동사]가 근간을 이룬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It]는 [to-부정사]를 받는 가주어다. [to-부정사]가 이 문장의 진주어며,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인 [for + 목적어]가 쓰였다. 결국 문장을 단순화하면, ([to-부정사] is 형용사)라는 간단한 2형식 문장이 된다. 2형식의 문장구조는 [S + V + C]로 주어와 주격보어는 동격의 관계가 된다.
[to-부정사]는 원래 주어였으니 당연히 주어 자리에 올 수 있지만, 부정사의 의미사의 주어인 사람이 주어 자리에 올 수 있을까? 올 수가 없다. 왜냐하면 사람이 주어가 되었을 때, 주격보어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사람(O) ≠ 형용사(주격보어) (사람이 가능하다가 아니라 사람이 ~한 일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이다. 따라서 사람(목적어)을 주어로 쓸 수 없다. 다만 부정사의 목적어가 주어자리에 올 수는 있다.
It is + 인성 형용사 + of + O + to-inf
kind
wise
foolish, stupid, cruel, clever, thoughtful ...
이 구문도 위 구문과 동일하다. 다만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즉, 인성형용사)가 오면 [for]대신 [of]가 오며, 부정사는 물론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인 사람(목적어)이 주어자리에 올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O = 형용사(주격보어) (사람은 친절하다는 성립한다. 따라서 사람주어(목적어)를 쓸 수 있으며, 사람주어를 쓸 경우, <사람 + be 동사 + 인성형용사 + of>가 된다. 즉, 인성형용사가 오면 전치사는 의무적으로 [of]
'문법 > 핵심구문 15제(영어공식-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특강 (0) | 2008.08.04 |
---|---|
형식 목적어 구문 (0) | 2008.08.04 |
not A but B (0) | 2008.08.04 |
부정어 + 강조어구(cannot ~ too 용법) (0) | 2008.08.04 |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 (0) | 2008.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