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피선생수다/학부모와 함께 하는 학습법(11)
-
학습법 - 2
단순함과 복잡함 세상은 세 가지 종류의 사람이 있다더군요. 보고도 못 보는 사람, 봐야 아는 사람, 안 보고도 아는 사람. 조금 더 줄이면 단순한 사람과 복잡한 사람으로 구별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제 요즘 화두는 단순함입니다. 얼핏 단순한 사람은 얼뜨기처럼 보이고 복잡한 사람은 ..
2015.09.04 -
학습법 - 1
좋은 부모,,,, 나쁜 부모... 가 어디있겠습니까만,,,, 아이를 사랑하는 부모의 특징 중 하나는 아이는 놀면서 커야한다며 조기 교육의 중요성을 놓친다는 것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놀이에서 생존을 위한 능력을 터득합니다. 그래서 잘 노는 아이가 사회에서 성공하는데, 놀이는..
2015.08.07 -
정독이냐 속독이냐
정독과 속독의 문제, 사전을 찾을 것인가, 아니면 그냥 읽을 것인가???
2015.07.30 -
팀(그룹 과외)
팀은 5~7명을 이룰 때 가장 큰 효과를 본답니다. 그보다 적으면 긴장감이나 결속력이 약해지고 그보다 많으면 혼란스러워지고 파벌이 생겨 내분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죠 그래서 그 중간 수치인 5~7명은 긴장감도 가장 높고 결속력도 최고가 된다는거죠.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거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2011.07.23 -
이론은 복잡해도 실천은 단순하다
농구를 잘 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회화를 ~~ 뜨개질은?
2011.03.09 -
회화
회화는 배우는 게 아니다. 대화란 습관이고 습관의 배임이다. 바로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듣고 말하며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언어의 습관이라는 것이다. 물론 대화의 기술이란 몸에 밴 입에 밴 말을 어떻게 상황에 맞게 적절히 구사하느냐는 문제지만, 우리가 흔히 영어 회화를 배운다는 의미의 회화란 ..
201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