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7. 27. 13:48ㆍ중학교 영어공부방/중학영어논술1부 (번역과 문법)완결
Ⅳ 셜록 홈즈와 공작의 아들(SHERLOCK HOLMES AND THE DUKE'S SON by arthur conan doyle)
독해20-1)
When visitors came to see Sherlock Holmes in Baker Street, they often did |
|
surprising things. Sometimes they put their heads in their hands and cried. |
|
Sometimes they talked and talked, and couldn't stop. And sometimes they just |
|
sat there and didn't say a word. But nobody was more surprising than Dr Thorneycroft Huxtable. |
|
어휘) do surprising thing ; 특이한 행동을 보이다. nobody(nothing) is more ~ than ... ; ...보다 더 ~한 것(사람)은 없다.
문법 설명) 빈도부사(often, always, ever, never...)의 위치는 일반동사 앞, 조동사나 be동 사 뒤다.
독해) 베이커 가에 있는 셜록 홈즈의 집을 방문한 사람들은 종종 특이한 행동을 한다. 머리를 손에 묻고 울음부터 터트리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밑도 끝도 없는 말을 하염없이 주절거리는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은 말 한 마디 없이 멍하니 앉아만 있기도 한다. 그러나 소니크로프트 헉스터블 박사처럼 특이한 방문객이 있었을까?
해설). [nobody(nothing) is more ~ than = ...은 ...보다 더 ~한 것은 없 다]는 비교급 표현으로 최상급의 의미를 지닙니다. 위 문장을 전환해 보면 (Nobody was more surprising than Dr Thorneycroft Huxtable = Dr Thorneycroft was the most surprising = Nobody was so surprising as Dr~)가 되죠. 비교급이나 최상급은 암기할 사항이 많지만 정확한 직역을 하면 암기사항이 대폭 줄어들 겁니다. 일반 구문이나 이런 비교급 구문은 직역하면 그 뜻이 의외로 쉽게 다가오니 정확한 직역의 연습을 많이 하시길 바랍니다.
맨 마지막 문장에서 원문은 평서문인데 역자는 의문문으로 처리했죠. 강조하기 위해, 혹은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번역자의 기교랍니다. ㅎㅎㅎㅎ
독해21-2)
After a minute or two the man began to move, and his eyes opened. A second |
|
later he got quickly to his feet. His face was now red and unhappy. |
|
"Mr Holmes, I am so sorry! I forgot to eat or drink anything this morning - that's |
|
why I felt ill." |
|
어휘) after a minute = in a ~ = a minute later. get to one's feet ; 일어서다. forget to + R ; ~할 것을 잊다. that's why ; 그래서.
문법 설명) [forget(remember, regret, 기타 과거 회상 동사) + to-inf(부정사)]는 <~할 것 을 잊다(기억하다, 후회하다)>로 미래를 나타내며 [forget(remember, regret)+ -ing(동명사)는 ~한 것을 잊었다(기억했다, 후회했다)]로 과거를 나타낸다.
독해) 잠시 후 그 방문객이 기척하더니 눈을 떴다. 그러더니 갑자기 벌떡 일어났다. 이제 그 사람의 혈색은 돌고 있었지만, 안색은 여전히 어두웠다.
“홈즈 씨, 정말 죄송합니다. 경황이 없어 아무 것도 마시지도 먹지도 못했더니... 제가 그만 기운을 못차렸습니다.”
해설) 손님이 얼마나 기진맥진했었는지 알 수 있죠. 탐정과 의뢰인의 첫 만남부터 심상치가 않습니다. 또한 심상치 않은 문법 중의 하나가 바로 직독직해죠. 나름대로 직독직해 요령을 알면 매우 편리하고 정독과 속독을 할 수 있답니다. 간단한 요령 하나는, [that is why-그래서, this is why-이래서, which is why-이래서 혹은 그래서, this is how-그렇게 해서] 등입니다. 물론 앞에서부터 의미단위로 끊어읽어가는 것이 정석이지만, 이런 것도 하나의 요령이란 거죠.
독해22-3)
It is easy to get out of the window and down the ivy to the ground. So we think |
|
that he was out that way. “He was in his usual school things, we think - a short |
|
black coat and dark blue trousers. We looked all through his room very carefully, but |
|
carefully, but we found nothing strange, nothing unusual.“ |
|
어휘) ivy ; 담쟁이덩굴. in ; 착용의 전치사.
문법 설명) (It is ~to get...)에서 It는 (to get...)를 받는 가주어다. 영어의 기본구조는 (주어+동사)다. 따라서 영어에선 (주어+동사)를 가장 간결히 표현하려는 의지가 있다. 그래서 주어가 길면 가주어를 사용하거나, 문장을 도치하는 경우가 많다. 가주어나 가목적어 구문를 그렇게 이해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해석을 하면 <...하는 것은 쉽다>가 된다.
독해) 담쟁이덩굴을 타면 쉽게 창밖으로 나올 수 있었으니 아마 그렇게 나왔으리라. “교복차림으로 외출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짧은 검은색 코트에 군청색 바지를 입었을 테죠. 그의 방을 샅샅이 살펴보았지만 별달리 눈에 띄이는 것은 없었습니다.”
해설) (in his usual ~)에서 [in]
독해23-4)
But Holmes did not look happy. "It's a bicycle, yes, but not the bicycle. Every |
|
bicycle has different tyres - I know forty-two different kinds of tyre. This tyre |
|
is a Dunrop, but Heidegger's bicycle had Palmer tyres. The English teacher told |
|
me. So this is not Heidegger. |
|
어휘) look happy ; 행복해 보이다. different kinds of ; 다른 종류의.
문법 설명) 2형식 구조는 (S+V+C)다. 불완전 자동사로 동사 혼자는 구실을 못하고 주격보어의 도움이 필요하다. 2형식 동사로 [sound, look, taste, smell. feel + 형용사] 표현이 있는데 이 때 형용사는 부사적으로 해석된다.
독해) 그러나 홈즈의 표정은 밝지 않았다. “그래 자전거 바퀴 자국인 건 맞아. 하지만 우리가 찾던 바퀴 자국은 아닐세. 자전거마다 바퀴 모양이 제각가이라네. 내가 알고 있는 종류만도 42가지야. 이 바퀴는 던롭 자전거지. 하지만 하이데거 선생의 자전거는 팔머 타이어란 말일세. 영어 선생님이 알려준 정보라네. 그러니 이 바퀴 자국은 하이데거 선생의 바퀴 자국이 아니란 얘기지.”
해설) (보어)란 도와주는 말이란 뜻이죠. 불완전하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하겠죠. 그래서 보어가 들어가면 불완전 동사가 된답니다.
독해24-5)
"And that's the back wheel," said Holmes, "because the rider, of course, sits |
|
over the back wheel. The deeper track is the one on top, so this bicycle went |
|
that way, across the moor away from the school. But who was the rider? where |
|
did he come from?" |
|
어휘) the back wheel ; 뒷바퀴. rider ; 기수. on top ; 위. moor ; 황무지.
문법 설명) 자전거에 앉는 자세를 통해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the deeper track is the one on top)의 문장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면, 해석이 가능하다. 지금, 여러분은 홈즈처럼 탐정이 되어 문장 해석이라는 범인을 잡아야 한다.
독해) “그리고 저게 뒷바퀴 자국이야.” 홈즈가 말했다. “자전거를 타면 체중이 뒷바퀴에 쏠리지 않겠나? 그러니 깊게 파인 윗쪽 자국이 뒷바퀴 자국이지. 이 자전거 저 쪽으로 갔단 얘기지. 황무지를 지나 학교 반대방향으로 간 거야. 하지만 도대체 어디서 온 누구지?”
해설) [on top]이 이 문장에선 핵심어죠. 체중이 실리는 쪽이 당연히 더 깊은 바퀴 자국을 내겠죠. 그 바퀴 자국이 [on top]이니 위에 난 바퀴자국이란 얘기죠. 어떻게 여러분, 명탐정이 되어 가는 기분입니까?
독해25-6)
“Now," said Holmes, "before we go on, let's think carefully for a minute. What do |
|
we know so far? First, the boy left freely. He was dressed, he did not leave |
|
suddenly, he wanted to go - perhaps with someone, perhaps not. But the German |
|
teacher left without his socks and without his shirt, so he left very suddenly." |
|
어휘) go on(=keep on) ; 계속하다. so far ; 지금까지.
문법 설명) 복장 상태를 보고 홈즈가 떠난 사람들의 정황을 추리하고 있다. 이 문장에선 여 러분이 탐정이다. 홈즈가 된 기분으로 독해의 실마리를 찾아보자.
독해) “이보게.” 홈즈가 말했다. “여기서 잠시만 생각을 정리해 보세.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 낸 정보가 무엇이지? 첫째, 그 소년은 끌려간 게 아냐. 그 소년이 옷을 입고 간 것으로 보아, 서둘러 떠나진 않았어. 가고 싶어 간 것이지. 동행인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어. 하지만 독일 선생님은 맨발에 셔츠도 걸치지 않고 떠났어. 급했단 증거지.”
독해26-7)
“Not so fast, Watson. Think about it. Heidegger dies eight kilometres from the |
|
school. So the boy is moving very fast, because it is eight kilometres before a |
|
man on a bicycle can get near him. And Heidegger dies because someone hits |
|
him very hard on the head. A boy can't do that, so there was someone with the boy-a man, let's say.“ |
|
어휘) not so fast ; 그리 빠르지 않아. get near ; 따라잡다.
문법 설명) 신체의 일부를 표현할 때는 목적격을 소유격으로 해석한다. [때리는 동사 (strike, hit, kiss, tap ,,,) + 목적격 + on the 신체부위]하면 [누구의 어디 를 때리다]가 되며 [보는 동사(see, watch, look at, stare ...) + in the 신체 부위]하면 [누구의 어디를 보다]가 되고 [잡는 동사(get, hold, cauch, take ...) + 목적격 + by the 신체 부위]하면 [누구의 어디를 잡다]가 된다.
독해) “그리 빠르진 않았어, 왓슨. 생각을 정리해 보세. 하이데거 선생님은 학교에서 8km 떨어진 곳에서 사망했어. 자전거를 탄 사람이 8km나 쫓아가서 그 소년을 따라잡았으니 그 소년은 매우 빠르게 움직였던 얘기지. 그리고 하이데거 선생은 머리에 강한 타박상을 입고 사망했어. 소년의 소행으로 보기는 힘든 정황이야. 결국 소년이 누군가와 함께 있었단 증거지. 그것도 분명 남자로 말일세.”
독해27-8)
Sherlock Holmes's answer was a very surprising one. "You," he said. "And now, |
|
sir, your cheque, please." |
|
The Duke stood up, his face white and angry. Then he sat down again, and put |
|
his face in his hands. It was some minutes before he spoke. |
|
어휘) cheque; 수표. It is 시간 before ~ ; 얼마의 시간이 흐른 후.
문법 설명) [It is 시간 before] 구문은 대표적인 직독직해 구문으로 <~한 후에>로 해석 한다. 관용적인 표현으로는 <It will not be long before~>로 <머지않아, 곧>이란 뜻이다.
독해) 깜짝 놀란 건 셜록 홈즈의 대답이었다. “당신이요. 자, 공작님, 이제 수표책을 써 수시겠습니까?”
공작이 일어섰다. 그의 얼굴은 분노로 창백하게 일그러졌다. 하지만 다시 자리에 주저앉으며 손으로 얼굴을 감쌌다. 몇 분 후 그가 사실을 털어 놓았다.
해설) [It is 시간 before]의 구문을 모르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장에선 자주 등장하죠. 우리식으로 해석하면 [~하기 전에 얼마의 시간이었다]가 되는데, 거꾸로 해석하면 [~후에 ~했다]가 되죠. 대표적인 관용표현이며, 꽤 유용한 구문입니다. 영어 표현에서 [white and angry]처럼 우리식 표현과는 반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표현은 영어원문에 구애받지 말고 [분노로 얼국이 하애졌다]로 표현하세요.
독해28-9)
"He is not the murderer! The murderer ran away last night." |
|
Holmes said again. "I have a little more news for you, sir. The police met Mr |
|
Reuben Hayes last night at Chesterfield station. Mr Hayes is not running |
|
anywhere for a very long time." |
|
어휘) murderer ; 살인자([머거러]로 발음한다). run away ; 달아나다. for a long time ; 오 랫동안.
문법 설명) [Mr Hayes is not running ~]이 까다롭다. 앞 문장에서 유추해서 멋지게 의역해 보자.
독해) “그는 살인자가 아날세! 살인자는 지난밤에 도망갔다네.”
홈즈가 다시 웃었다. “공작님, 미처 말씀드리지 못한 사실이 있습니다. 경찰이 어젯밤에 지난밤에 루벤 헤이즈 씨를 체스터필드 역에서 체포했습니다. 헤인즈 씨는 한동안 햇볕을 보지 못할 겁니다.”
해설) 글을 저자의 생각의 흐름입니다. 문법에 지나치게 매여 영어발전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사람을 많이 보았습니다. 사실, 대한민국 영어가 그렇다고해도 맞을 겁니다. 하지만 문법을 염두에 두고 글을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글은 흐름이라는 머피 선생님의 이 점, 명심하세요. ㅎㅎㅎㅎ
독해29-10)
“When I was a young man, Mr Holmes, I was in love - oh, so much in love. It only |
|
happens to you once, and this woman was the love of my life. I wanted her to be |
|
my wife - but she died. She left me this one child, and I loved him because of her. |
|
When I look in his face, I see her, and remember her, and can't stop loving her." |
|
어휘) be(fall) in love ; 사랑에 빠지다.
문법 설명) 영어는 <주어 + 동사>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모든 문법적 변화는 동사의 변환이다. 시제, 조동사, 의문문, 부정문, 명령문, 수의 일치, 준동사(부정사, 동명 사, 분사) 구문 등이 또한 영어는 <주어 + 동사>을 기본 구조로 하기 때문에 <주어 + 동사>를 가장 간결이 표현하려는 의지가 있다. 가주어, 가목적어 구문도 이런 원리에서 나온 것이다. 흔히 하는 말로 5형식을 이해하면 영어 문법 끝났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는 주술관계로 결국 [주어 + 술어]의 구조>로 5형식은 결국 <주어+동사>가 두 번 겹치는 구조다. 주어와 동사를 정확히 해석하면 쉽게 독해가 되며 직독직해를 하는 데도 아주 유용하다. 5형식의 간단한 직독직해의 문장을 예로 들면 <나는 원한다,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기를>처럼 된다. 목적보어로 [to-부정사]
독해) “홈즈 씨, 제가 젊어 한 때 지순한 사랑에 빠진 적이 있다오. 운명의 연인이었소. 헌데 결혼을 앞두고 그 여인이 하늘나라로 먼저 가 버렸다오. 그 여인이 남긴 아이가 하나 있는데, 그녀 때문에 나는 그 아이를 좋아했다오. 그 아이를 보고 있노라면 그 여인이 보이고, 그러면 그 여인의 얼굴이 떠오르며 그 여인에 대한 식지 않은 사랑을 느낀다오.”
독해30-11)
Holmes opened the box and took out one shoe. It was a shoe for a horse's foot, |
|
but it looked like a cloven cow's foot. Holmes wet his finger and ran it round the bottom |
|
the bottom of the shoe. A little mud came off on his finger. |
|
어휘) take out ; 꺼내다. shoe(horseshoe) ; 편자. look like ; ~처럼 보이다. cloven ; (발 굽이) 갈라진, 째진. come off ; 떨어져 나오다.
문법 설명) [off]는 [분리나 출발]을 나타내는 전치사다. 따라서 [A little mud come off]는 [진흙이 조금 떨어져 나왔다]로 해석된다. 기타 유용한 전치사로는 <into, to>로 <결과>를 나타내며 <out of>는 의미는 다르지만 <from>처럼 <~로 부터>해석하면 편할 때가 많다.
독해) 홈즈는 상자를 열고 뭔가를 꺼내들었다. 말굽에 끼우는 편자였다. 헌데 모양이 굽이 두 개인 소 발굽처럼 보였다. 홈즈는 손가락에 물을 묻혀 그 편자 바닥을 한 바퀴 문지르자 진흙이 손가락에 묻어나왔다.
해설) 추리소설이라 재미있으면서도 까다롭죠. 영어를 잘 하는 비결 두 가지는 장문을 많이 읽는 것과 사전을 많이 찾는 것입니다. 문제를 위해 재미있는 문장과 문법이 가미된 문장을 의도적으로 뽑았지만, 더욱 효율적인 방법은 원문을 읽는 것입니다. 하지만 원문은 너무 어려우니, 이 책처럼 옥스포드 책벌레 시리즈도 좋고 시사 영어사의 축약본도 좋으니 되도록 많은 원문을 접하시길 바랍니다.
'중학교 영어공부방 > 중학영어논술1부 (번역과 문법)완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Ⅵ 소공녀(A little Princess by Frances Hodgson Burnett) (0) | 2008.07.29 |
---|---|
Ⅴ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by jennifer Bassett) (0) | 2008.07.29 |
Ⅲ 알라딘(Aladdin and the Enchanted lamp retold by Judith Dean) (0) | 2008.07.27 |
Ⅱ 코끼리 인간(The Elephant Man by Tim Vicary) (0) | 2008.07.26 |
원숭이 발(The Monkey's Paw by w.w. Jacobs) (0) | 2008.07.23 |